3DTV 들여다보기 1 - 3D 입체의 원리 및 디스플레이 종류 |
방송통신위원회의 지상파 풀HD 3DTV 실험방송 계획으로 방송계의 화두가 된 ‘3D방송’은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아바타’로 인하여 국민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우선 이번호를 통해 3D입체 영상의 기본개념을 소개하고 다음호를 통해 3D입체 콘텐츠 제작방법과 방송포맷 등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 3D 그래픽 vs 3D입체 CG분야의 3D그래픽은 가상의 3차원 공간에 어떤 물체를 만들어 놓고 이것을 하나의 렌즈를 가진 가상의 카메라로 찍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원근법이나 명암 등의 단안요인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 3D 입체의 원리 <그림2. 양안시차 확인실험 - StereoGraphics Developers‘ handbook에서 발췌> 양안시차는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해 볼 수 있는데, 그림2의 왼쪽처럼 손가락을 얼굴 가까이 두고 손가락에 초점을 맞출 경우 뒤쪽 깃발이 두 개로 보이게 된다. 만약 깃발에 초점을 맞추고 바라볼 경우에는 손가락이 두 개로 보이게 된다. 이렇게 왼쪽 눈, 오른쪽 눈은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지만, 우리는 두 개의 물체를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물체로 인식한다. 이것은 우리가 두 이미지를 머릿속에서 자동으로 하나로 합성하여 인식하기 때문이며 이 과정에서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동일한 이미지를 보여주면, 우리는 그 이미지가 스크린 상의 위치에 표시되었다고 느끼지만,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보여주는 이미지의 수평위치를 약간 어긋나게 보여 준다면 우리는 그 피사체가 스크린보다 들어가 있거나 스크린에서 튀어나와 있는 것 같은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 3DTV 디스플레이의 종류 적청안경방식은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적색과 청색으로 분리하여 좌/우 시차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일반 2D 디스플레이에서도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색재현성 나쁘고 눈이 쉽게 피로해지며 표현할 수 있는 입체감이 약하다. 셔터안경방식은 디스플레이에서 2배의 프레임률로 영상을 재생함과 동시에, 동기신호를 셔터안경으로 전송하여 안경으로 들어가는 빛을 주기적으로 허용하고 차단함으로써,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여 인식시키는 방법이다. 이외에도 안경 없이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렌티큘러(Lenticular)방식이나 배리어(Parallax Barrier)방식도 있지만 기술 성숙도 등의 문제로 현시점에서는 가정용TV로는 전술한 안경방식이 더 적합하다. 다음 호에서는 3D 입체콘텐츠의 제작방법과 포맷, 전송방법 등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
'최신 기술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IEEE 802.11a/b/g/n (0) | 2010.03.29 |
---|---|
3D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1) | 2010.03.20 |
[알아봅시다] 3D TV의 원리 (0) | 2010.03.10 |
2세대 아이팟 터치, 6개월여만에 전문 해킹팀에 의해 뚫려 (0) | 2009.02.06 |
NEC-도시바, 시스템LSI 사업 통합 추진중 (0) | 2009.02.03 |